gold_honeybadger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gold_honeybadger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56)
    • coding (152)
      • 머신러닝 (14)
      • 딥러닝 (8)
      • MySQL (19)
      • 리눅스 (18)
      • AWS (8)
      • API (7)
      • OpenCV (15)
      • Algorithm (3)
      • coding_test (23)
      • ROS (16)

검색 레이어

gold_honeybadger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oding/리눅스

  • [리눅스] 백그라운드 실행 nohup

    2021.07.15 by golduny_zoo

  • [리눅스] WiringPi의 readall 확인법

    2021.05.19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71~80)

    2021.05.14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61~70)

    2021.05.14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51~60)

    2021.05.14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41~50)

    2021.05.13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31~40)

    2021.05.13 by golduny_zoo

  •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11~20)

    2021.05.13 by golduny_zoo

[리눅스] 백그라운드 실행 nohup

AWS ec2 를 이용하여 배포하기 위해 많이 사용했다. ec2에서 실해을 시켜주면 내가 로그아웃을 해도 인스턴스가 켜져만 있으면 계속 배포가 가능하니깐 1. 실행 사용법은 간단하게 nohup {프로세스} & 그러면 nohup.out 이 생성되는데 확인해 보면 프로세스를 실행할때 shell에 출력되는 문자들이 들어온다. 굳이 출력을 저장하고 싶지 않으면 nohup {프로세스} 1>/dev/null 2>&1 & 2. 종료 nohup으로 진행되고 있는 백그라운드를 확인한다 ps -ef | grep {프로세스에 들어가는 문자} 앞쪽의 PID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종료해준다. kill -9 {PID}

coding/리눅스 2021. 7. 15. 12:34

[리눅스] WiringPi의 readall 확인법

이 책 너무 오래전에 출판이 되서 그런가? 오류가 많이 잦은것 같다ㅠ 4장에 들어있는 내용대로 하는것보다 인터넷으로 많은 것을 찾아보고 적용해야하는 경우가 많아..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렸다. 책에 나와있는대로 gpio를 다루기위해 WiringPi를 클론(다운로드)하고 파이썬 파일을 작성하고 실행을 하면 전구가 깜빡거려야하지만... 파일은 오류없이 진행이 되나 전구가 깜빡이지 않아.. 당황했다. 우리조가 잘못 작성하긴 했지만.. 그래도! 하지만 인터넷의 도움을 받아 성공할 수 있었다. 보통 WiringPi는 C언어를 위한 라이브러리라고 말하는데.. 파이썬에서 사용이 가능한 WiringPi2라이브러리가 있다!! https://github.com/Gadgetoid/WiringPi2-Python Wiring..

coding/리눅스 2021. 5. 19. 21:30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71~80)

TELNT - 23 DNS - 53 SSH - 22 FTP - 20~21 HTTP - 80 SMTP :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FTP : 파일 전송 프로토콜 POP3 : 전자 우편 가져오기 프로토콜 IMAP : 인터넷 메세지 접속 프로토콜 arp : 연결하려는 시스템의 MAC 주소 확인 telnet : 원격으로 호스트에 접속을 위한 명령어. route : IP 라우팅 테이블을 출력하거나 조작 ethtool : 이더넷 카드의 설정을 출력하거나 변경 IRC : Internet Relay Chat NFS :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SAMBA :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PC에서 Linux 또는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소프트웨어 Usenet : 텍스트..

coding/리눅스 2021. 5. 14. 15:17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61~70)

CDMA :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다중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코드화한 신호를 대역 확산하여 전송 PSTN : 전화의 창시자인 벨(Alexander Graham Bell)의 시대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전해 온 회선 교환방식 전화망의 집합체로, 전세계적으로 연결된 음성 위주의 공중 전화망 집합 PDSN : IWF와 달리 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다루는 것이 특징이며, 단말기와 무선인터넷의 연결 작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관문 역할을 담당 CSMA/CD : 정체 신호가 발생하면 송신자 'A' 뿐만 아니라, 수신자 'B' 로 데이터를 보내고자 하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 들에게 전달된다. 이로써 불필요한 전송을 사전에 차단시켜 트래픽 IP : 송수신 호스트가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 정보..

coding/리눅스 2021. 5. 14. 14:27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51~60)

Xfce :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 플랫폼을 위한 자유 소프트웨어 데스크톱 환경 윈도우 매니저 : 리눅스를 쓸 때 GUI환경을 제공하는 Metacity, Mutter, KWin, Window Maker, TWM 등이 윈도우 매니저이다. 이는 고유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데, Motif, GTK, QT 등이며 현재 리눅스에서는 대표적으로 GTK와 QT가 각각 GNOME과 KDE에 사용되고있다 xauth : X 서버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편집하고 표시 xhost : 현재 호스트 시스템에서 Enhanced X-Windows 에 액세스하는 사용자를 제어 xset : X-Windows 환경에 대한 옵션을 설정 xmodmap : X 서버에서 키맵을 수정 KDE : KDE는1996년당시튀빙엔 대학교학생이..

coding/리눅스 2021. 5. 14. 12:16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41~50)

rpm - i : 설치 모드 rpm - V : 검증 모드 rpm - q : 조회 모드 yum search : 명령은 다운로드 가능한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와일드 카드 사용X) RAID :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하는 기술 Linear : N개의 디스크를 연결해 디스크가 완전히 채위지면 순차적으로 다음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 Striping : 논리적으로 연속된 데이터들이 물리적으로 N개의 디스크 드라이브에 나뉘어 저장 하나의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Read/Write하는 것보다 여러 디스크로 빠르게 Read/Write Mirroring : RAID1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N개로 복제하여 각 디스크에 저장 lp : 프린트 인쇄 명령 cancel : 프린트작업취소 lpadmin : 프..

coding/리눅스 2021. 5. 13. 23:05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31~40)

e : 단어의 마지막 글자로 이동하기 x : 현재 글자 지우기 dd : 현재 줄 잘라내기 set nu : 각 행의 행 번호를 표시합니다. set ic : 검색/치환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set sm : 새로 입력한 괄호의 짝(?) 표시 nano : 1999년 크리스 알레그레타가 자유소프트웨어로 출시한 나노는 오늘날 GNU의 일부로 되어 있다. gedit : UTF-8과 호환하며, 프로그램 코드, 마크업 언어와 같은 구조화된 텍스트 문서를 편 집하는 용도에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 pico : 워싱턴 대학의 Aboil Kasar가 개발한 유닉스 기반의 문서 편집기이다. pico를 클론해 nano가 탄생했다. 1. 환경설정(configure) - 자신이 원하는 설치 옵션을 지정해 makefile을 만..

coding/리눅스 2021. 5. 13. 21:59

리눅스 마스터 2급 문제(11~20)

ksh : 1983년 AT&T사의 벨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베이비드 콘이 개발. sh을 확장하고, c의 많은 기능을 추가 하였음 bash : 1989년 브라이언 폭스가 GNU프로젝트를 위해 개발. sh을 기반으로 만듦 PS1 : 명령 프롬프트 설정 PS2 : 보조 프롬프트 https://www.youtube.com/watch?v=hYbgJaNdHGs ~/.bashrc : 명별칭(alias)과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함수를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 ~/.bash_profile : 환경 변수와 bash가 수행될 때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지역적인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 /bin :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etc/shells : shell의 목록으로 chsh ..

coding/리눅스 2021. 5. 13. 18:1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다음
TISTORY
gold_honeybadger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